체교과 정시 수시
체육교사라는 멋진 꿈을 가지고 계시네요! 성적이 부족하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, 아직 고2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노력에 따라 충분히 기회는 열려 있습니다.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릴게요.
---
1. 체육교육과(체교과) 정시/수시 가장 낮은 등급은 어느 정도인가요?
일반적으로 국공립 체교과는 내신이나 수능 기준 최소 3등급 초반, 보통 2등급대를 요구합니다. 체육 실기 비중이 높긴 하지만, 성적도 어느 정도는 받쳐줘야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.
그러나 일부 수도권 외 지역 사립대나 전문대학 체육학과는 내신 6~7등급대도 합격 사례가 있고, 실기 우수자 전형 등을 활용하면 문이 열릴 수 있습니다.
즉, 실기 역량 + 전략적 지원을 통해 4~5등급대 수험생도 진입 가능한 체육 관련 학과가 있습니다. (단, 체육 교육과는 진입 장벽이 더 높습니다.)
---
2. 체교과를 안 가고 임용고시를 치는 방법은 많이 어려울까요?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어렵습니다.
체육 교사 임용고시는 교원자격증이 있는 사람만 응시 가능한데, 이 자격증은 보통 교직과목이 개설된 '체육교육과' 전공자만 이수할 수 있습니다.
다른 일반 체육학과(예: 스포츠과학, 체육학 전공)는 교육과정에 교직이수 과정이 없는 경우가 많아, 체육교사 임용 응시 자격이 안 될 수 있습니다.
예외적으로, 교직이수 가능 일반학과에 입학해서 교직이수를 신청하고, 승인받아 졸업 시 자격을 얻는 방법도 있지만,
교직이수 신청 조건이 매우 까다롭고 (상위 10~20% 성적 등)
학생 선발도 제한적이라 고등학생 시점에서 미리 노리고 들어가기는 어렵습니다.
---
제안
현재 실기 실력 향상에 집중하면서, 성적도 조금씩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.
실기 비중이 높은 대학, 또는 실기우수자 전형이 있는 체육학과를 찾아보세요.
체교과가 아니더라도, 체육 관련 학과 → 졸업 후 체육 지도자, 생활체육지도자, 트레이너 등 다양한 진로가 가능합니다.
임용고시는 체교과 진학이 거의 필수이므로, 우회 진입이 가능한지도 대학 입학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.
채택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